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4

아동기의 발달 1. 아동기의 발달 특성 -신체 발달 아동기의 신체 발달의 특징은 영아기나 유아기에 비해 그 성장의 속도가 배우 느리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체 기관의 성숙으로 인해 시야나 두뇌 계발이 활발해지는 시기이다. 또한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라며, 더 튼튼하고 더 빠르게 잘 조절된 신체를 유지하게 되는 시기이다. -인지, 언어발달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아동은 심신이 발달하고 기존의 문화를 받아들여 학습함으로써 인지적으로 현저한 발달을 나타낸다. 이 시기가 되면 아동은 사건과 사물 사이의 어떤 원칙이나 관계를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 조작기에 나타나는 중요한 능력은 탈중심화이다. 이는 어떠한 상황을 한 가지 관점이 아닌 여러 관점에서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아동기에는 외부 자극을 인.. 2022. 7. 5.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 영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문제 1. 감각박탈 아이가 순하다고, 어머니가 몸이 불편해서, 혹은 아이가 보기 싫어서 등의 이유로 아이에게 신체감각적이고 인간적인 자극을 주지 않으면, 태어날 때 대외가 정상적이었던 아이라도 후에 지능박약이 된다. 감각박탈이 일어나는 정도에 따라서 정신기능 발달에 지연이 오며 시기가 늦을 수록 치료가 불가능해진다. 2. 발달지연(늦되는 아이) 감각발탈 아동은 전반적인 발달지연을 보이는데 가급적 빨리 적절한 자극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기질적인 원인이 있는 아이는 교정 가능한 원인인지 진단을 받아야 하며, 교정이 불가능하거나 원인불명이 경우는 소아정신과에서 주기적인 점검과 특수 교육지침을 받아서 키워야한다. 특정기능의 발달만 지연되는 경우는 특수발달장애에 해당되는데, 말이나 걷기가.. 2022. 7. 4.
영아기 발달특성 1. 신체 발달 생후 24개월간의 영아기는 일생 중 신체적 발달이 가장 빠른 시기로 신체의 모든 부분이 급속히 성장한다. 키의 성장은 몸무게의 증가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신생아의 키는 1년후 출생 시의 1.5배가 되며, 몸무게는 생후 3개월이 되면 2배 정도가 되고 1년이 되면 출생 시의 3배에 이른다. 연령 증가에 따라 뼈와 조직이 연골에서 경골화되어 간다. 영아의 머리뼈 중 6개의 천문은 아직 경골화되지 않은 연한 조직이다. 뼈의 수와 크기는 영아가 성장하면서 증가한다. 유치의 발생은 출생 후 6~8개월에 나타나는 것이 정상이다. 대체적으로 유아는 1세가 되면 약 6개의 유치가 나오고 2세 반이 지나면 거의 다 나와서 성인이 먹는 음식을 잘 먹을 수 있고 6세가 되면 영구치가 한두 개 생겨난다. 유.. 2022. 7. 4.
태아기 발달과 정신건강 태내기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가 결합되는 것이 수정이다, 수정이 되는 순간부터 한 개체의 생명이 시작된다. 수정 후부터 약 280일 동안 태아는 어머니의 체내에서 자라게 된다. 이 기간에 태아의 여러 신체 기관이 형성되고 기능이 시작되며, 기관의 크기와 무게가 급속히 증가한다 1)태내기 발달 특성 먼저 난체기는 수정에서부터 수정체가 나팔관을 거쳐 자궁벽에 착상하기까지 2주간의 시기에 해당한다. 수정체가 자궁벽에 착상함으로써 전 태내 발달과정을 통해 지속될 모체와의 밀착된 의존관계가 시작된다. 두 번째 단계인 배아기는 수정 후 약 2~8주에 해당되는 시기로서, 이 기간에 중요한 신체 기관과 신경계가 형성된다. 이 시기가 시작되는 3~4주 경의 배아의 크기가 약 0.7cm이던 것이 이 시기의 끝 무렵이면.. 2022. 7. 4.
반응형